카이M이란 무엇인가
광역차단의 길
작성자
임윤
작성일
2024-04-01 18:42
조회
1570
브로치 ‘카시’
미키모토제, 1909년 무렵
오크(Oak, ‘카시’)의 잎사귀를 모티브로 하였으며 장신구 ‘오비도메’ 뒤의 금속 부분을 본래의 형태와 다르게 브로치로 바꾸어 만든 작품입니다. 잎사귀 한쪽 면에는 물방울처럼 천연 진주가 고정되어 있는데, 19세기 유럽의 주얼리에서 볼 수 있는 기교가 사용된 점이 몹시 흥미롭습니다.
작품 뒷면을 보면 미키모토의 브랜드 마크인 ‘카이M’과 ‘K15’ 각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불가리스 선생님 번역입니다
브로치가 뭔지 알고,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는 잠재고객이 이해하지 못하면 상업적으로 가치가 없는 번역입니다
예전에 일본 식당에 간 적이 있는데요
한국어 메뉴가 이상했습니다
(육회가 윳케라고 적혀있는 식)
노포를 물려받은 아들은 자기가 하나라도 더 팔아보려고 번역을 맡긴 건데, 이 꼴인지 몰랐다고 했고
가난한 유학생이었던 저는 메뉴를 재번역해주고 공짜로 받아먹었습니다
한국인 현지화 버전 예시
회사 짤리고 영끌해 차린 카페가 망해갑니다
운 좋게 이름 모를 일본 아이돌이 들렀다 갔다며 바짝 핫플이 됩니다
물 들어올 때 임대료라도 건져야겠다
일본어 번역을 4년제 일문과 졸업자라고 주장하는 자에게 맡겼는데,
일본인들이 와서 주문하지도 못하고 고개만 갸우뚱대다 갑니다
아마 카이M 같은 번역 때문이지 않을까요
대체 카이M이 무엇일까요
힌트는 드렸습니다
해설은 다음 번에 올려드립니다






임윤
ㆍ
2024.10.19
ㆍ
추천
62
ㆍ
조회
3279
임윤
ㆍ
2025.04.17
ㆍ
추천
17
ㆍ
조회
156
임윤
ㆍ
2025.02.06
ㆍ
추천
8
ㆍ
조회
319
작업상 잔실수 줄이는 방법 (3)
팁
ㆍ
임윤
ㆍ
2025.02.04
ㆍ
추천
24
ㆍ
조회
638
팁
ㆍ
임윤
ㆍ
2025.01.22
ㆍ
추천
24
ㆍ
조회
721
임윤
ㆍ
2025.01.08
ㆍ
추천
23
ㆍ
조회
505
팁
ㆍ
임윤
ㆍ
2025.01.08
ㆍ
추천
17
ㆍ
조회
611
팁
ㆍ
임윤
ㆍ
2025.01.01
ㆍ
추천
14
ㆍ
조회
989
팁
ㆍ
임윤
ㆍ
2024.12.25
ㆍ
추천
9
ㆍ
조회
666
팁
ㆍ
임윤
ㆍ
2024.11.30
ㆍ
추천
12
ㆍ
조회
929
팁
ㆍ
임윤
ㆍ
2024.11.30
ㆍ
추천
14
ㆍ
조회
858
팁
ㆍ
임윤
ㆍ
2024.11.23
ㆍ
추천
23
ㆍ
조회
855
팁
ㆍ
임윤
ㆍ
2024.11.22
ㆍ
추천
16
ㆍ
조회
771
팁
ㆍ
임윤
ㆍ
2024.11.15
ㆍ
추천
21
ㆍ
조회
953
컴퓨터를 업그레이드합시다 (1)
팁
ㆍ
임윤
ㆍ
2024.11.12
ㆍ
추천
18
ㆍ
조회
902
임윤
ㆍ
2024.11.11
ㆍ
추천
23
ㆍ
조회
1490
임윤
ㆍ
2024.11.11
ㆍ
추천
13
ㆍ
조회
1226
M 글자가 굴껍질 안에 있는 모습이라는 것까지는 알아냈는데 카이는 일본어를 몰라서 짐작도 안 감...
조개, 카이, 貝 이제 안 까먹을 듯요 ㅎㅎ
MIKIMOTOのジュエリーには必ず「MIKIMOTO」あるいは「あこや貝のマーク+M」のどちらかの刻印があります。
品質に絶対的な自信のあるMIKIMOTOのジュエリーは、この刻印そのものが証明書の役目を果たすのです。
MIKIMOTO주얼리에는 반드시 'MIKIMOTO' 또는 '진주조개 마크 + M' 둘 중 하나가 새겨져 있습니다.
품질에 있어서 무엇보다 자신있는 MIKIMOTO주얼리는 이 각인이 증명서 역할을 대신합니다.
저는 일본 사이트를 검색해 보았습니다. 여러분이 추론하신 카이는 진주 조개가 맞는 것 같습니다.
육회를 소리 나는 대로 써서 윳케 라고 썼으니까 조개를 소리 나는 대로 카이라고 쓴 것 같네요. 음음....
진주로 유명한 미키모토니까 貝 + 이니셜 M 이려나요?
카이가 혹시 貝 인가요.
일본어 사전에 kai를 검색해 봤는데 조개가 나오더라고요. 조개껍데기 모양에 M이 새겨진 모양일까요...?
헉 그냥 추리하신건가요!!!
부끄럽지만 추리한 내용입니다... 구글에 mikimoto symbol을 검색해보니 민트색 님께서 첨부해 주신 것과 비슷한 이미지들이 많이 나오네요! 제 부족한 검색 실력을 깨달았습니다..............ㅠㅠ
K14는 14K같은데요 일본은 순금함량 표기법이 다른가
싶네요
[저염수에서 이매패류 참굴(Crassostrea gigas)의 패각운동]이라는 논문에서 "진주조개를 이용한 Kai-lingual로, 수계의 독성물질 및 패류를 폐사시키는 유해적조조류를 감시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라는 말이 나오는데요..
미키모토 공식 사이트에서도 "A water quality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Kai-Lingual"라고 언급된 글이 있더라구요. 종합해보면 Kai는 진주가 맞는 것 같습니다!
또 위 조건으로 비슷하게 검색해보니 K15는 금 함량 표시가 맞는 것 같아요.
[ material ]K15 PG pink gold
[ commodity condition ] new goods finishing settled. Mikimoto. 15 gold. antique brooch. . unusual 15 gold.
아님 말구요..
집에 갖고 계신 금붙이 잘 보시면 의외로 k14, k18이라고 새겨져 있을 겁니다.
대략 '진주조개 안에 이니셜 M이 있는 미키모토의 브랜드 마크' 정도일 것 같습니다...아마 미키모토니깐 M일 것이라 추측해보면서...